메뉴 건너뛰기
상단메뉴 바로가기 메인 왼쪽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

알마즌닷컴

PC

고객에게 가장 알맞은 컨퍼런스 솔루션과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
고객과의 대화

[고객과의 대화 228] 하멜과 조선 - 정보 차단의 결과 작성일Date: 2025-02-19 09:41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최고관리자 조회 5,909

본문

고객과의 대화 No.228

2025.02.19

3ae8b1c9f520bce871499a8035e2d9df_1739924456_8383.jpg
3ae8b1c9f520bce871499a8035e2d9df_1739924456_8975.jpg

스무 네 살 하멜은 낯선 땅에 표류해서가 아니라, 

들어온 사람은 나갈 수 없다는 조선의 방침 때문에 절망했습니다. 

조선은 36명이나 되는 이방인을 먹이고 감시하는 게 부담이었지만, 

그들의 출경(出境)을 허락하지 않았습니다. 그들은 조선에서 단지 죽어지는 날을 기다려야 했습니다. 


3ae8b1c9f520bce871499a8035e2d9df_1739924548_0438.png

- 1628년 :   네덜란드인 벨테브레(귀화명 박연) 제주에 표류

- 1641년 :   일본 에도막부, 네덜란드간 제한적이지만 우호적인 통상 실시

- 1653년 8월 16일 :   네덜란드인 하멜 등 36명 제주에 표류

- 1653년 10월 29일 :   발테브레와 하멜 면담


벨테브레에게 면담내용을 보고받은 효종이 하멜에게 전한 말은 다음과 같습니다.



" 그대가 새라면 원하는 곳으로 날아갈 수 있겠지만, 우리는 외국인을 밖으로 

보내지 않는다. 당신을 보호해 주겠으며 적당한 식량과 의복을 제공해 줄 테니 

이 나라에서 여생을 마치라 "

 

시간이 흘러 감시가 약해진 틈을 타 하멜은 13년만에 조선을 탈출합니다.

3ae8b1c9f520bce871499a8035e2d9df_1739925069_5689.png
 
1666년 6월 6일 :   하멜 등 8인 일본으로 탈출
1668년 7월 :   일본의 요청으로, 조선에 남아있던 7인 일본으로 출발
1858년 7월 29일 :   일본-네덜란드 우호통상조약 체결
(참고: 15인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질병과 기아로 조선에서 사망)


 

일본은 하멜이 조선에 표류하기 전부터 네덜란드와 제한적이지만 통상관계에 있었고, 

일본이 조선에 남아있는 네덜란드인을 고국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힘썼습니다. 

이런 과정들을 거치면서 일본에는 네덜란드 학습열풍(난학, 蘭學)이 불었고,

 이는 향후 일본의 근대화의 초석이 됩니다.


이와 반대로 조선은 정보를 외부와 교환하지 않고 차단하기에 급급했습니다.

 이 차단의 결과를 우리는 잘 알고 있습니다.



3ae8b1c9f520bce871499a8035e2d9df_1739925438_7464.jpg


기업도 외부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심혈을 기울여야 합니다. 

오늘날 기업의 외부 환경은 과거보다 이해관계가 훨씬 복잡하고 다양합니다. 

화상회의 등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총 동원하고 

적절하게 운용하는 노하우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는 것입니다.



 참조 :  [하멜표류기](김태진옮김, 서해문집), [효종과 하멜](궁능유적본부 세종대왕유적관리소)

Gorinchem , ‘Bezoek het Hendrick Hamel Museum – Wie was Hendrick Hamel?”, TRAVEL4HISTORY


More information

고객과의 대화 No.227 (2025.2.18) 왕소군- 정보 루트의 작은 오염도 위험한 이유

화상회의 알마즌닷컴

지난 고객과의 대화 보기